번역 이야기

요즘 즐겨 보는 포스트 중에 하나가  Monaca님 블로그의 글쓰기 카테고리란의 번역 관련 포스팅들입니다.

번역도 창작이라는데 쉽지가 않죠. 그런데 기술 문서나 서적에 대한 번역은 훨씬 더 난감, 난해한 경우가 많습니다.

Manaca님 글들 중에는 IT 기술 서적의 번역과 관련해서 그런 난감하고 난해한 것들의 번역과 관련한 유용한 (또 재미있기 까지한!) 글들이 많습니다. 번역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꼭 보시길 권합니다.

비슷한 경우로 Nebula 오픈 소스 프로젝트 관련해서 이메일이나 문서를 읽다 우리말에 해당하는 단어로 바로 치환하려면 참 어렵겠다 싶은 것들이 있었는데 그 중 생각나는 몇 가지로 vanilla, 'black magic', 'native'...정도가 떠오르는군요.


1) This version is different to the vanilla version of RadonLabs.

2) Don't use black magic such as virtual or multiple inheritence.

3) It might more easier to write with script language for that module than native one.

1)의 경우는 RadonLabs에서 소스 코드를 커밋하면 바로 컴파일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커뮤니티 버전에 맞게 수정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사실 RadonLabs에서 릴리즈하는 버전과 커뮤니티 버전의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이게 또 두 개가 서로 미묘하게 틀립니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vanilla라는게 original의 뉘앙스도 약간 나긴 하는데 또 그런 의미는 본래의 의미하고는 좀 다르죠.
vanilla의 뜻이 아무것도 첨가하거나 올리지 않은(양키애들은 아이스크림에 이것 저것 취향대로 올려 먹잖아요, 시럽이니 땅콩 같은 견과니 해서요) 뜻인데 이런 의미를 가진 적절한 단어가, 글쎄요. (긁적긁적)

2) 문장의 의미는 다들 아실테고...흑마술이라고 해버리면 좀 그렇죠? ^^

3)의 native는 teze님 말을 빌자면 날코딩이라는데. ㅋ


by kimsama | 2008/11/16 23:40 | General | 트랙백 | 덧글(6)

트랙백 주소 : http://kimsama.egloos.com/tb/1834491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Commented by DX at 2008/11/17 22:00
안녕하세요. 잘 읽었습니다만 내용 중에 잘못된 부분이 있어서...

1) different to는 문법상으로 틀렸습니다. different than이나 different from이 맞는 표현입니다.

3) might 뒤에 be가 빠졌고 more easier는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입니다(그냥 easier가 맞죠). 그리고 script language가 아니고 a script language로 써야 합니다. native one은 native ones 또는 a native one이 맞습니다. 여기서 native는 날 코딩이 아니고 script가 아니고 네이티브 코드를 생성하는 C/C++ 같은 언어를 뜻합니다.

1)이나 3)의 경우 문장을 쓴 사람이 영어권 인물이 아닌 것 같네요. ^^
Commented by DX at 2008/11/17 22:02
"날 코딩이 아니고 script가 아니고 네이티브 ..."

=> "날코딩이 아니고 네이티브 ..."가 맞습니다.^^
Commented by kimsama at 2008/11/18 09:25
우선 1)입니다.
http://www.worldwidewords.org/qa/qa-dif1.htm

답변이 다소 기니까 제일 아래에 결론만 올리면,

The usual advice these days is that 'from' is irreproachable. 'To' is unobjectionable in British English but may need thought if it is to appear in the US. 'Than' is colloquially acceptable — in the USA only — but can be used in more formal prose anywhere if a difficult paraphrase would otherwise result.

엄밀히 따지면 문법적으로 틀렸다기 보다는 영미권의 말의 차이라는거죠. (게다가 different from은 세익스피
어가 처음 사용했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았습니다!)

커뮤니티의 핵심 다섯 중에 반이 영국인이니까...라는 궁색한 변명을 해 봅니다 ㅋ

나머지에 대한 변명(?)은 잠시 후에 ..(쿨럭)
Commented by kimsama at 2008/11/18 15:17
3)은 지적하신대로 be가 들어가야 맞습니다 -_-; 그리고 more도 생략해야 하는게 맞습니요. 문법책에 나오는대로 설명하면 비교급이 두 개 올 필요가 없다...가 되겠군요. (맞나요? -_-;;)

1), 2), 3) 모두 비영어권이죠 ㅋ (쿨럭....그러니까 생각난 단어로 즉석에서 대충 만든 문장들이니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마시라능 -_-;;;)

3)의 관사는 (네, 다른 것도 개차반이지만 관사는 진짜 죽쑵니다 -_-;) 문법상으로는 a script language도 가능하지만 정확하게는 the를 사용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언어에 따라 문제 해결의 난이도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특정 언어가 지칭 되어야 하는 것이 맞겠지요.

그리고 날코딩은 저도 생소한 단어라...그냥 웃자고 한 이야기입니다. ㅎ 말씀대로 문맥상 네이티브는 C/C++ 언어로 작성한 코드가 맞습니다. 실제로 번역할 때 (쓸 분도 안계시겠지만)쓰시면 절.대.로. 안됩니다. -_-;
생각해보니 날코딩 이야기할 때 단어의 날-은 아마도 raw를 이야기한 것 같은데...의미상으로는 low도 가능하겠군요 ㅋ

DX님의 지적에 감사드리며, 자취라도 남겨주셔야지 제가 따로 인사도 하고 그럴텐데 말입니다...^^ 종종 들러 주세요~
Commented by DX at 2008/11/18 18:14
저와 평소 대화하는 외국인들은 항상 different from/than만 쓰던데 different to도 옳은 표현이네요. 좋은 사실을 배웠습니다.^^
Commented by teze at 2008/11/19 09:41
저기서 말하는 날-코딩은 raw의 의미가 맞습니다. 제가 워낙에 먹는걸 좋아하고 요리하는 것도 좋아하다 보니 보통 음식에 비유해서 개념들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크립트 코딩은 이미 가공된 재료를 써서 요리를 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고(보통은 VM이라는 만능 요리도구 겸 껍질이 존재하는 느낌이라..굳이 예를 들자면 베이컨이나 햄으로 조리하는 느낌이랄까욤?) 네이티브 코딩은 순수하게 메인 요리 재료를 특별한 도구없이 조리하는 느낌( 모 생선회 뜨기가 대표적)을 받아서 저렇게 표현한거죠.. 모 사실 더 솔직한 이유는 밤에 술마시면서만 가능합니다만..ㅋㅋ

글구 갠적으로 Native Code라는 용어보다는 Machine Code가 더 직관적이라서 좋은데 역시 뽀대가 좀 안나죠?ㅋㅋ.. 역시 용어는 간지..ㅋ

그니깐 절대 날림코딩한다고 할때의 날- 이 아닙니다..^^

:         :

:

비공개 덧글

◀ 이전 페이지다음 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