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1월 18일
Catch up...
많이 뜸했네요...
최근에 가장 큰 이슈라면 UDK의 이름으로 언리얼3 엔진이 무료로 배포된 것이겠네요. 비슷하게 Unity3D도 윈도우즈, 맥 버전이 무료로 배포되었습니만 (UDK에 비해 조금 일찍) 관심을 보이시는 분들은 거의 보이질 않습니다. ^^; 약간 앞서 Unity3D의 5.5백만불 투자 유치건 소식도 있었죠.
UDK는 전 세계에서 서울이 가장 많은 수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는 소식도 있습니다만 높은 진입 장벽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닙니다만 배포된 문서가 초기의 UDN의 문서와 비교하면 매우 정리가 잘 되어 있다고도 합니다.
Unity3D는 또 이와는 반대죠. 매우 낮은 진입 장벽이 장점입니다. 현재 iPhone 관련한 개발 엔진으로 많이 각광받고 있죠. 투자 유치건과 무료 배포건으로 앞으로도 행보도 매우 흥미롭습니다.
ShaderX의 에디터로 유명한 Wolfgang님이 Rockstar를 떠났다는 소식은 이전에도 전해 드렸는데, 최근에 게임 내 이펙트와 관련한 미들웨어를 만드는 새로운 회사(http://www.conffx.com/)를 시작했다고 하는군요.
새로운 Nebula3 버전이 업로드되었습니다. 이전 버전에서 여러 가지 새로운 중요한 기능들이 추가되었는데요, 멀티 코어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눈여겨 볼만한 기능들이 대거 추가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FrameSync라고 불리는 프레임 동기화 기능과 캐릭터의 스키닝 애니메이션과 파티클 연산을 별도의 쓰레드로 분리해서 연산하도록 코드가 변경되었습니다. 관련된 내용은 추후에 한번 포스팅하도록 하지요~
최근에 가장 큰 이슈라면 UDK의 이름으로 언리얼3 엔진이 무료로 배포된 것이겠네요. 비슷하게 Unity3D도 윈도우즈, 맥 버전이 무료로 배포되었습니만 (UDK에 비해 조금 일찍) 관심을 보이시는 분들은 거의 보이질 않습니다. ^^; 약간 앞서 Unity3D의 5.5백만불 투자 유치건 소식도 있었죠.
UDK는 전 세계에서 서울이 가장 많은 수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는 소식도 있습니다만 높은 진입 장벽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닙니다만 배포된 문서가 초기의 UDN의 문서와 비교하면 매우 정리가 잘 되어 있다고도 합니다.
Unity3D는 또 이와는 반대죠. 매우 낮은 진입 장벽이 장점입니다. 현재 iPhone 관련한 개발 엔진으로 많이 각광받고 있죠. 투자 유치건과 무료 배포건으로 앞으로도 행보도 매우 흥미롭습니다.
ShaderX의 에디터로 유명한 Wolfgang님이 Rockstar를 떠났다는 소식은 이전에도 전해 드렸는데, 최근에 게임 내 이펙트와 관련한 미들웨어를 만드는 새로운 회사(http://www.conffx.com/)를 시작했다고 하는군요.
새로운 Nebula3 버전이 업로드되었습니다. 이전 버전에서 여러 가지 새로운 중요한 기능들이 추가되었는데요, 멀티 코어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눈여겨 볼만한 기능들이 대거 추가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FrameSync라고 불리는 프레임 동기화 기능과 캐릭터의 스키닝 애니메이션과 파티클 연산을 별도의 쓰레드로 분리해서 연산하도록 코드가 변경되었습니다. 관련된 내용은 추후에 한번 포스팅하도록 하지요~
# by | 2009/11/18 18:09 | Development | 트랙백 | 덧글(0)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